티스토리 뷰
목차
덥고 습한 날씨가 계속되다 보면 균이 번식하면서 음식이 상하기 쉽습니다. 덕분에 배탈이 나거나 장염까지도 유발할 수 있어 더운 날씨에 식재료 관리는 중요합니다. 균이 번식한 음식을 먹다 보면 구토나 복통을 유발하고 설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음식을 끓여 먹는 것을 권장합니다.
목차
식중독의 원인과 증상
식중독(food poisoning)은 오염된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하여 발생하는 급성 위장관 질환을 말합니다. 식중독은 다양한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기생충)와 독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은 섭취 후 몇 시간에서 며칠 내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중독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살모넬라(Salmonella), 대장균(E. coli),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리스테리아(Listeria) 등이 포함됩니다. 세균은 오염된 식품이나 물을 통해 체내에 들어와 증식하면서 독소를 분비해 식중독을 일으킵니다. 노로바이러스(Norovirus)와 로타바이러스(Rotavirus)가 대표적입니다. 바이러스는 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되며, 소량으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며, 회충, 편모충, 아메바 등이 포함됩니다. 주로 오염된 물이나 덜 익힌 육류를 통해 감염됩니다. 식품 자체에 포함된 독소나 세균이 생성한 독소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는데 보툴리눔 독소, 황색포도상구균 독소 등이 대표적입니다. 식품에 포함된 화학물질(농약, 중금속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런 화학물질은 식품이 재배, 가공, 유통되는 과정에서 오염될 수 있습니다.
식중독의 증상은 원인 병원체와 독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배가 아프고 경련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설사같은 물처럼 묽은 변이 나오거나, 피가 섞일 수 있고, 메스꺼움과 함께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체온이 상승할 수 있으며, 때로는 오한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설사와 구토로 인해 체액이 손실되어 탈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탈수 증상으로는 갈증, 어지러움, 피로 등이 있습니다.
식중독 예방방법
식중독의 예방 방법 으로는 우선 개인위생 관리를 중요시합니다. 음식을 준비하거나 먹기 전, 화장실을 사용한 후에는 손을 철저히 씻거나 상처가 있는 손으로 음식을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 신선한 재료를 사용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섭취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고기, 생선, 계란 등을 충분히 익혀서 먹고 날음식과 익힌 음식을 별도로 보관하고, 조리 도구도 분리하여 사용합니다. 음식물을 적절한 온도에서 보관합니다. 냉장고는 4도 이하, 냉동고는 -18도 이하를 유지합니다. 냉장고에 보관해야 할 음식은 가능한 한 빨리 냉장 보관합니다.
조리대, 도마, 칼 등을 사용 후에는 뜨거운 물과 세제로 깨끗이 씻고 식기와 조리 도구는 사용 후 즉시 세척합니다. 가급적 깨끗한 물을 사용하고, 특히 야외 활동 시에는 물을 끓여 마십니다. 생수를 마시거나, 정수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생 상태가 좋은 식당을 선택합니다. 또한 날음식 섭취를 피하고, 조리된 음식을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식당에서 제공하는 물과 얼음도 주의하여 섭취합니다. 식중독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위생적인 습관을 생활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어책입니다. 식중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여름 음식관리하는 방법
1. 식품 보관
냉장 보관 / 냉동보관 : 신선 식품은 가능한 한 빨리 냉장고에 보관하세요. 특히 고기, 생선, 유제품과 같은 빠르게 상할 수 있는 식품은 냉장 보관이 필수입니다. 냉장고의 온도는 4도 이하로 유지하고, 냉동고는 -18도 이하로 설정하세요. 고기, 생선 등은 장기 보관을 위해 냉동 보관할 수 있습니다. 냉동 전 식품을 소분하여 사용하기 쉽게 포장하면 편리합니다.
건조식품 보관: 쌀, 밀가루, 콩류 등은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세요. 밀폐 용기에 넣어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일과 채소 보관: 과일과 채소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보관 방법이 다릅니다. 대부분의 채소는 냉장 보관이 좋으며, 과일 중에는 바나나, 감귤류 등은 상온 보관이 더 적합합니다.
2. 식품 준비
깨끗한 손: 음식을 준비하기 전과 후, 그리고 다른 식품(특히 날고기)과 접촉한 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으세요.
별도의 도구 사용: 날고기와 신선 식품을 다룰 때는 도마와 칼을 분리하여 사용하세요.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료 세척: 과일과 채소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필요한 경우 소금물이나 식초물에 담갔다가 헹구어 잔류 농약을 제거하세요.
3. 요리와 조리
충분한 가열: 고기, 생선, 계란 등은 내부까지 충분히 익혀야 합니다. 특히 고기는 내부 온도가 75도 이상이 되도록 조리하세요.
빠른 식사: 조리된 음식은 가능한 한 한 빨리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온에서 오래 두면 세균이 증식할 수 있습니다.
재가열: 남은 음식은 다시 섭취하기 전에 반드시 충분히 재가열하여 내부까지 뜨거워지도록 하세요. 75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대부분의 세균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4. 음식물 쓰레기 관리
빠른 처리: 음식물 쓰레기는 가능한 빨리 처리하세요. 상온에 오래 두면 악취가 나고 해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밀폐 보관: 음식물 쓰레기는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여 냄새와 해충을 차단하세요.
정기적인 청소: 쓰레기통과 주변을 정기적으로 청소하여 위생 상태를 유지하세요.
5. 외식 시 주의사항
위생 상태 확인: 외식 시에는 식당의 위생 상태를 확인하세요. 주방이 깨끗하고, 직원들이 위생적으로 음식을 준비하는지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날음식 주의: 여름철에는 날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회나 초밥 등은 신선도가 떨어지면 식중독의 위험이 있습니다.
보관 시간 확인: 음식이 상온에 오래 방치되지 않도록 하고, 남은 음식은 가능한 빨리 냉장 보관하거나 섭취하세요.
6. 식수 관리
깨끗한 물 사용: 식수는 항상 깨끗한 물을 사용하세요. 여름철에는 수질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수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적인 정수기 관리: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 필터를 정기적으로 교체하고, 내부를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하세요.
끓여서 사용: 야외 활동 시 물이 깨끗하지 않다고 생각되면, 반드시 끓여서 사용하세요. 이러한 여름철 음식 관리 팁을 잘 따라 위생적인 식생활을 유지하고, 식중독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세요.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식재료를 사용하며, 보관 및 조리 과정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